본문 바로가기

원단 지식55

국가별 원단 시험성적서 보는 법(KS, ASTM, AATCC, EN, ISO, JIS, GB, QB) 국가별 원단 시험성적서 개요와 중요성 이해하기 원단 시험성적서(Test Report)는 원단의 품질과 성능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문서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산업 표준과 규격에 따라 시험법과 보고서 형식을 정립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원단 수입, 수출, 제조 시 해당 국가의 시험성적서 요구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대표적으로 한국(KS), 미국(ASTM, AATCC), 유럽(EN, ISO), 일본(JIS), 중국(GB, QB) 등 주요 국가별 표준이 있다. 이 시험성적서는 물리적 특성(강도, 신축성), 화학적 특성(유해물질 검출), 내구성, 기능성(발수, 자외선 차단) 등 다양한 항목을 다룬다. 원단 바이어와 QC 담당자는 각국 시험성적서의 체계와 용어 차이를 파악해 혼동 없이 원단 성능을.. 2025. 7. 15.
원단 바이오 워싱(Bio Washing)이란? 바이오 워싱(Bio Washing)의 개념과 원리 바이오 워싱은 섬유 가공 공정 중 하나로, 효소(주로 셀룰라아제)를 이용해 원단 표면의 섬유 미세 구조를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방법이다. 이 공정은 기존의 화학적 워싱보다 친환경적이며 원단의 촉감과 외관 개선에 효과적이다. 효소가 섬유 표면의 돌출된 섬유들을 부드럽게 제거하여, 표면 마찰을 줄이고 손상 없이 원단을 정돈한다. 이 과정에서 원단의 물리적 특성이 변화하는데, 특히 표면 거칠기 감소, 부드러움 증가, 광택 변화 등이 발생한다. 바이오 워싱은 면, 리넨, 텐셀 등 셀룰로오스 기반 섬유에 가장 효과적이며, 원단 내 불순물이나 잔사 제거에도 도움을 준다. 효소 작용은 공정 시간, 온도, pH, 효소 농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원하는 표면 .. 2025. 7. 15.
원단 텐터(Tentering) 가공이란? (치수 안정성 확보) 텐터 가공(Tentering)의 원리와 목적: 치수 안정성 확보 텐터 가공(Tentering)은 원단의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 직물 후가공 공정이다. 주로 직물 염색 후 고온 열 처리(텐터 프레임 내 고정)를 통해 폭과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끌어당겨 고정한다. 이 과정은 염색 후 원단 수축(시장 shrinkage)이나 편직물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 단계이다. 텐터 장비는 수평형 텐터 프레임 구조로, 평행한 바(bar)에 직단을 고정하고 일정한 장력을 걸어 원단 폭과 길이를 정확히 컨트롤한다. 온도, 장력, 텐션벨트 속도, 습도 제어가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하며, **열세팅 온도(150~200℃)**와 탠션 강도(±2%) 등이 중요한 공정 변.. 2025. 7. 15.
섬유 필름가공에서의 솔벤트(SOLVENT)란 무엇인가? 솔벤트(Solvent)란? 솔벤트(Solvent)는 쉽게 말해 ‘무언가를 녹이는 액체’, 즉 ‘용제(溶劑)’를 말한다. 우리가 원단 가공이나 인쇄, 페인트, 접착제 등에 사용할 때, 고체나 점성이 있는 물질을 풀어서 액체 상태로 만들기 위한 화학물질이다. 예를 들어, 본드(접착제)가 처음엔 흐르다가, 나중에 굳는 이유는 솔벤트가 증발해서 접착제만 남기 때문이다. 섬유와 필름 가공에서 솔벤트의 역할원단 가공, 특히 필름 라미네이팅이나 본딩 가공에서 솔벤트의 역할:접착제를 녹여 액체 상태로 만든다.→ 쉽게 바를 수 있게 됨필름과 원단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어 접착 역할을 한다.→ 열을 가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솔벤트는 증발하고,→ 남은 접착제가 원단과 필름을 붙여주는 접착층이 된다. 솔벤트의 종류와 특징솔벤트.. 2025. 7. 15.
TPU vs PU 라미네이팅 필름 비교 라미네이팅 필름의 역할과 기본 개념 라미네이팅 필름은 원단에 기능성과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핵심 가공 재료다. 방수, 방풍, 방오, 투습 등의 성능을 부여하며, 주로 아웃도어 웨어, 산업용 보호복, 의료용 소재, 텐트 및 기타 기능성 섬유에 널리 적용된다. 필름은 원단과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며,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원단과 일체화된다. 현재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라미네이팅 필름은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와 PU(Polyurethane)로 구분된다. 이 두 필름은 유사한 명칭을 갖지만, 물성, 내구성, 환경 적합성, 비용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필름의 선택은 단순한 가격 비교보다, 최종 용도에 맞는 기능성과 내구성 확보가 핵심 기준이 되어야.. 2025. 7. 15.
기능성 원단: 라미네이팅 vs 본딩 비교 라미네이팅(Laminating)의 원리와 가공 방식 라미네이팅은 두 개 이상의 소재를 접착층(adhesive layer)을 통해 열과 압력을 이용해 일체화하는 가공법이다. 기능성 원단 제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복합 공정 중 하나로, 방수, 방풍, 내화학성, 내구성 강화 등의 목적을 갖는다. 주로 필름층(예: PU, TPU, PTFE, PE 등)을 패브릭 표면에 라미네이트하여 물리적 성능을 추가한다. 가공 방식에는 크게 핫멜트 라미네이팅과 솔벤트 라미네이팅이 있으며, 최근에는 무용제형(솔벤트-프리)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핫멜트는 환경 친화적이며 빠른 가공이 가능하지만, 필름 특성에 따라 고온에서 수축이나 접착 강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솔벤트 방식은 접착력이 우수하나 유기화합물(VOC.. 2025.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