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단 지식

국가별 원단 시험성적서 보는 법(KS, ASTM, AATCC, EN, ISO, JIS, GB, QB)

by 소재전문가 2025. 7. 15.

국가별 원단 시험성적서 개요와 중요성 이해하기

 원단 시험성적서(Test Report)는 원단의 품질과 성능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문서이다.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산업 표준과 규격에 따라 시험법과 보고서 형식을 정립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원단 수입, 수출, 제조 시 해당 국가의 시험성적서 요구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이다.


 대표적으로 한국(KS), 미국(ASTM, AATCC), 유럽(EN, ISO), 일본(JIS), 중국(GB, QB) 등 주요 국가별 표준이 있다. 이 시험성적서는 물리적 특성(강도, 신축성), 화학적 특성(유해물질 검출), 내구성, 기능성(발수, 자외선 차단) 등 다양한 항목을 다룬다. 원단 바이어와 QC 담당자는 각국 시험성적서의 체계와 용어 차이를 파악해 혼동 없이 원단 성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성적서에는 시험 조건, 장비, 결과값, 판정기준 등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품 사양과 법적 기준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한국(KS)과 미국(ASTM/AATCC) 원단 시험성적서 해석법

 한국 KS 표준 시험성적서는 국내 유통 및 제조 원단에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된다. KS는 섬유 물성 시험, 염색 견뢰도, 내마모성, 치수 안정성 등 세부 항목별로 시험법을 규정하고 있으며, 성적서에는 시험방법, 샘플 정보, 시험결과 수치, 판정기준이 표기된다.
 미국의 ASTM과 AATCC는 섬유산업에서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크며, 특히 기능성 섬유 시험과 내구성 평가에 강점을 가진다. ASTM은 기계적 물성 시험 위주이고, AATCC는 염색성, 발수성 등 섬유 특성별 시험을 주로 다룬다. 미국 성적서는 보통 시험조건(온도, 습도), 표준시험법 번호, 수치 결과 및 통과 여부를 포함한다.
한국과 미국 성적서 모두 신뢰성 확보를 위해 시험기관 인증(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KOLAS, A2LA 등)이 중요하며, 성적서 유효기간과 샘플 채취 방법도 검토 대상이다.

 

 

유럽(EN/ISO)과 일본(JIS) 시험성적서의 특징과 해석 포인트

 유럽연합의 EN, ISO 표준 시험성적서는 국제적 통용성이 높고, 안전·환경 관련 법규 준수를 위한 자료로 자주 활용된다. EN 표준은 주로 기능성 섬유(방수, 투습, 난연 등) 시험에 집중되어 있으며, ISO는 섬유 일반 물성 및 환경 유해물질 관리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성적서에는 시험방법(ISO번호), 시험조건, 측정값, 불합격 기준 및 경고문구가 명확히 표기되어 있어 제품 인증 및 유럽시장 진출 시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일본 JIS 시험성적서는 일본 시장에 특화된 시험법과 규격을 반영하며, 섬유 강도, 내염성, 내구성 평가에 강점을 가진다. 일본 성적서 특징은 시험장비 및 방법 세부 기술이 비교적 상세하며, 시험결과 외에 권장 사용 조건 등 부가 설명이 포함될 때가 많다. 특히 일본과 유럽 성적서는 환경규제(예: REACH, RoHS 등) 준수 여부가 명확히 표시되어 글로벌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GB/QB) 시험성적서와 국제 무역 시 주의사항

 중국 국가표준 GB, 경공업 표준 QB 시험성적서는 중국 내 원단 생산과 거래에 널리 활용된다. GB는 강도, 염색 견뢰도, 세탁 수축률 등 기본 물성 시험에 초점을 맞추며, QB는 기능성 원단, 방수, 발수 등 특수 목적 시험을 포함한다.
 중국 시험성적서는 시험 조건, 시험 결과, 판정 기준과 함께 중국어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아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일부 항목은 국제 표준과 차이가 있어 직접 비교 시 세부 시험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국제 무역에서는 중국 성적서의 진위 확인과 시험기관 인증 상태, 시험장비 최신 여부 등을 검증하는 것이 필수이며, 불확실한 성적서는 통관 문제 및 품질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어는 국가별 시험성적서의 차이점과 해석법을 명확히 이해하고, 필요 시 전문 시험기관에 의뢰해 중복 시험 및 결과 비교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국가별 주요 원단 시험법 상세 비교 자료

 

  한국 KS 미국 ASTM / AATCC 유럽 EN / ISO 일본 JIS 중국 GB / QB
인장강도 파단강도 KS K 0521
(섬유 강도 시험)
ASTM D5034
(Grab Test)
ISO 13934-1 JIS L 1096 GB/T 3916
신장률
신율
KS K 0521 ASTM D5035 ISO 13934-1 JIS L 1096 GB/T 3922
염색
견뢰도
KS K ISO 105
(염색 견뢰도 시리즈)
AATCC TM 61
(Colorfastness)
ISO 105 JIS L 0849 GB/T 8427
세탁 후
수축률
KS K ISO 6330 AATCC TM 135 ISO 6330 JIS L 0217 GB/T 8629
발수성
시험
KS K ISO 4920
(Spray Test)
AATCC TM 22 ISO 4920 JIS L 1092 QB/T 1953
투습성
방수성
KS K ISO 11092
(투습성 시험)
ASTM E96
(수증기 투과)
EN 20811 
ISO 11092
JIS L 1099 QB/T 1953
내마모성 KS K ISO 12947 ASTM D4966 ISO 12947 JIS L 1096 GB/T 3920
유해물질 검사  KATRI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규격)
CPSIA,
OEKO-TEX Standard 100
REACH, Oeko-Tex JIS Z 0071 GB 18401
섬유 형상 및
성분 분석
KS K ISO 1833 ASTM D629 ISO 1833 JIS L 1041 GB/T 13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