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웨어 원단 선택의 중요성
작업복은 단순히 몸을 가리는 옷이 아니라, 다양한 환경 속에서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는 필수 장비 중 하나다. 특히 건설 현장, 공장, 물류센터, 야외 작업 등 마찰과 오염이 잦은 환경에서는 내구성이 강한 원단이 필수적이다. 원단의 내구성은 옷의 수명뿐 아니라 착용자의 안전과 직결되며, 잘못된 원단 선택은 찢어짐, 마모, 빠른 손상으로 이어져 비용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작업복 원단을 선택할 때는 마찰 강도, 방오(防汚) 성능(얼룩이 잘 묻지 않고 쉽게 지워지는 성질- 기름, 물, 먼지 같은 오염 물질이 잘 스며들지 않도록 막아주는 능력), 통기성, 세탁 후 수축률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내구성이 뛰어난 원단은 단단하면서도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유연성을 지니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내구성과 편안함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하나의 혼용의 원단 보다는 내구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혼방 원단이 주목받고 있어 작업복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내구성 원단 1: 코튼 캔버스와 덕원단(캔버스보다 더 촘촘하게 짜인 고밀도 면 원단)
코튼 캔버스(Canvas)와 덕원단(Duck Fabric)은 전통적으로 작업복 원단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이 원단들은 면 섬유를 고밀도로 직조해 매우 튼튼하고 내마모성이 강하다. 특히 덕원단은 캔버스보다 더 촘촘한 직조 구조를 가지고 있어 마찰에 잘 견디고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단은 건설현장 작업복, 미술용 앞치마, 가방 등에 널리 사용되며 세탁에도 강해 오랜 기간 원형을 유지한다. 다만 코튼 계열 원단은 방수성이 약할 수 있어, 야외 작업이나 우천 시에는 방수 가공 처리된 캔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면의 자연스러운 통기성과 질감을 유지하면서 발수 코팅이나 방오 처리된 덕원단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원단은 무겁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해 작업 능률을 높여준다.
대표적인 내구성 원단 2: 폴리에스터와 나일론 혼방 (+립스탑 조직의 원단)
폴리에스터(Polyester)와 나일론(Nylon)은 합성섬유 중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꼽힌다. 특히 이 두 소재를 혼방한 원단은 가볍지만 마찰과 찢어짐에 강해 고강도 작업복에 자주 사용된다. 폴리에스터는 흡습성이 낮아 건조가 빠르고 변형이 적으며, 나일론은 뛰어난 인장 강도와 내마모성을 자랑한다. 혼방 원단은 이러한 장점을 모두 결합해 내구성뿐만 아니라 활동성을 높인다. 최근에는 작업복에 립스탑(Ripstop) 원단이 자주 사용되는데, 이는 격자 구조로 직조되어 찢김이 발생하더라도 손상이 넓게 퍼지지 않는다. 이러한 원단은 군복이나 야외용 텐트, 캠핑 장비에도 쓰일 정도로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폴리에스터-나일론 혼방 원단은 관리도 쉽고, 방수나 발수 가공을 추가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어 작업복 원단으로 매우 추천된다.
내구성 원단 선택과 관리 팁
내구성이 강한 원단을 선택하더라도 올바른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오래사용하기 어렵다. 면 캔버스나 덕원단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장시간 물에 담그면 섬유가 손상될 수 있어 가벼운 손세탁과 통풍 건조가 이상적이다. 합성섬유 혼방 원단은 세탁 후 빠르게 건조되지만 고온 건조나 강한 화학 세제는 피해야 한다. 또한 작업복은 사용 환경에 따라 방수, 방오, 발수 기능을 가진 가공 원단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예를 들어 야외 작업에는 폴리에스터 혼방의 발수 가공 원단이, 실내 작업에는 통기성이 좋은 코튼 캔버스가 적합하다. 작업복 구매 시 혼용률 라벨을 꼼꼼히 확인하고, 내구성 테스트(마찰 강도, 세탁 견뢰도)가 인증된 제품을 고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올바른 원단 선택과 관리법을 병행하면 작업복의 내구성은 물론 장기적인 비용 절감에도 큰 도움이 된다.
'원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도·내열성 끝판왕은? 나일론6와 66 차이 정리 (0) | 2025.07.28 |
---|---|
내구성 강한 원단, 코듀라(Cordura)에 대하여 (feat. 아웃도어 대표 소재) (1) | 2025.07.27 |
아라미드 섬유에 대하여 - 파라 아라미드와 메타 아라미드의 차이와 활용 분야 (0) | 2025.07.27 |
방염 작업복 원단의 원리와 종류 (Fire Retardant) (0) | 2025.07.26 |
Qmax(접촉냉감 지수)의 측정 방법-수치 어떻게 해석하는거야? (0) | 2025.07.25 |
소로나 원단으로 만든 의류 관리법 (1) | 2025.07.25 |
아웃도어 브랜드 모두가 쓰는 소로나, 비밀은 뭘까? (2) | 2025.07.24 |
이 옷이 친환경이라고? 소로나와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진실 (1)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