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RE를 대적할 원단, eVent의 등장
방수 원단의 기준, GORE-TEX의 기술력
GORE-TEX는 아웃도어 업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기능성 원단 브랜드이다. 1969년 미국 고어(Gore)사가 처음 개발한 이 기술은 얇고 가벼운 막(film)인 ePTFE(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를 중심으로 구성된다.(2025.07 현재 기준 ePTE필름에서 친환경 ePE 필름으로 변경)
이 필름은 수증자는 통과시키고 물방울은 막아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뛰어난 방수성과 동시에 높은 투습성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 산을 오르더라도 땀이 안에 고이지 않고 바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옷 안은 쾌적하게 유지된다. GORE-TEX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Guaranteed to Keep You Dry’라는 슬로건을 내세울 정도로 신뢰를 얻고 있으며, 고기능 아웃도어 브랜드인 아크테릭스, 노스페이스, 마무트, 코오롱스포츠, K2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혁신적 대안, eVent의 기술 차별성
eVent는 GORE-TEX보다 다소 늦게 등장했지만, 다른 방식의 기술로 방수 원단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브랜드이다. eVent의 가장 큰 특징은 ‘Direct Venting Technology’로, 수분을 막지 않고 즉각적으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방수 원단은 수분을 점진적으로 배출하지만, eVent는 수증기가 막을 통과하면서 빠르게 외부로 빠져나가므로 활동 중 쾌적함이 더 오래 유지된다. 특히 격렬한 산악 스포츠나 트레일러닝과 같이 빠르게 땀이 나는 상황에서 효과가 뛰어나다. 투습도가 더 높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입고 있는 걸 잊을 정도로 시원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eVent는 몬테인(Montane), 라파(Rapha) 같은 하이엔드 브랜드에서 자주 사용된다.
GORE-TEX와 eVent의 방수·투습 성능 비교
방수 성능에서 보면 두 원단 모두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GORE-TEX는 일반적으로 28,000mm 이상의 수압 테스트를 통과하며, eVent 역시 20,000mm 이상의 방수 기능을 가진다. 하지만 실질적인 체감에서 가장 큰 차이는 투습도에서 나타난다. GORE-TEX는 투습도가 약 15,000g/m²/24hr 수준으로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성능을 보이며, eVent는 20,000g/m²/24hr 이상의 수치를 기록하는 경우도 있어 격한 움직임에 더 유리하다. 반면, eVent는 이와 같은 투습력을 위해 별도의 라이너를 줄이거나 소재를 가볍게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내구성 면에서는 GORE-TEX보다 다소 약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환경에 따라 어떤 원단이 더 적합한지는 달라진다.
사용 목적에 따른 선택 기준
일상적인 레인자켓이나 시티웨어에는 GORE-TEX가 더 적합할 수 있다. 내구성, 품질 관리, 브랜드 신뢰도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높은 체온 조절이 필요한 고강도 스포츠에는 eVent가 더 알맞은 선택이다. 예를 들어 겨울철 등산이나 마라톤에서는 빠르게 땀을 배출해주는 것이 오히려 체온 유지를 도와준다. 최근에는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친환경 라인도 두 브랜드에서 동시에 개발되고 있다. GORE-TEX는 ePE 필름으로, eVent는 PFAS-free 라인을 내놓으며 환경적 책임을 강화하는 중이다. 최종적으로 소비자는 자신의 사용 목적, 활동 강도, 착용 시간 등을 기준으로 두 원단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항목GORE-TEXeVent
GORE TEX | eVent | |
기술 구조 | ePE 필름 + PU 코팅 | ePTFE 필름 (PU 코팅 없음) |
투습 방식 | 수분이 필름에 흡수된 후 배출됨 (간접 배출) | 수분이 즉각 필름을 통과함 (직접 배출) |
방수 성능 | 약 28,000mm 이상 | 약 20,000mm 이상 |
투습 성능 | 약 15,000g/m²/24hr | 약 20,000g/m²/24hr 이상 |
내구성 | 매우 우수 (다층 구조로 강함) | 상대적으로 낮음 (경량화 중심) |
브랜드 신뢰도 | 매우 높음 (전통적 이미지) | 중간~높음 (전문 스포츠 중심) |
대표 사용 브랜드 | 아크테릭스, 노스페이스, 마무트 등 | 몬테인, 라파, 웨스트컴 등 |
착용감 | 안정적이고 다용도 | 더 쾌적하고 빠른 건조 |
환경 대응 | ePE 필름 적용 중 (PFAS-Free 방향) | PFAS-Free 버전 출시 진행 |
추천 용도 | 일상용 아우터, 방한복, 다목적 아웃도어 | 고강도 활동, 트레일러닝, 장시간 하이킹 |
*고어의 라인별로 기술 구조와 방수/투습 결과는 다를 수 있다.
'원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라텍 vs 고어텍스 – 스포츠/아웃도어 원단의 기술력 비교 (1) | 2025.07.31 |
---|---|
아웃도어 시장에서 자주 보여지는 폴라텍 알파와 기존 플리스의 차이 (1) | 2025.07.30 |
불에 잘 타지 않는 소재의 비밀: 방염과 난염 비교 (FR소재에 대하여) (0) | 2025.07.29 |
코듀라가 나일론을 이기는 이유, 원사부터 다르다! (4) | 2025.07.28 |
강도·내열성 끝판왕은? 나일론6와 66 차이 정리 (0) | 2025.07.28 |
내구성 강한 원단, 코듀라(Cordura)에 대하여 (feat. 아웃도어 대표 소재) (1) | 2025.07.27 |
아라미드 섬유에 대하여 - 파라 아라미드와 메타 아라미드의 차이와 활용 분야 (0) | 2025.07.27 |
방염 작업복 원단의 원리와 종류 (Fire Retardant)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