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단 지식

원단 세탁 견뢰도 등급의 의미

by 소재전문가 2025. 7. 15.

세탁 견뢰도란 무엇인가 – 염색의 지속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

 세탁 견뢰도(Washing Fastness)란 섬유나 원단이 세탁 후에도 염색 상태를 얼마나 잘 유지하는지를 측정하는 품질 지표이다. 이는 일반적인 세탁(가정용 세탁기, 손빨래 등)에 의해 색이 얼마나 변색되거나 빠지지 않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소비자 제품의 내구성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염색 견뢰도가 낮으면 반복 세탁 시 색이 점차 바래거나 주변의 다른 의류에 이염될 수 있어, 소비자 불만을 유발하고 브랜드 신뢰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고채도 컬러나 선명한 원색 제품일수록 세탁 견뢰도가 품질 판단에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섬유 제조 및 가공 단계에서는 반드시 세탁 견뢰도 시험을 거쳐 제품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며, 대부분의 바이어 역시 성적서 상의 등급을 필수로 요구하고 있다.

 

원단 세탁 견뢰도 등급의 의미

세탁 견뢰도 시험 방법 – ISO 및 AATCC 기준의 차이

 ISO 105-C06, AATCC TM61, 시험 방법 비교

 세탁 견뢰도 시험은 국제적으로 ISO 105-C06(국제표준)과 AATCC TM61(미국 섬유화학협회 기준)이 널리 사용된다. 두 방법 모두 시험편을 규정된 조건의 물과 세제에 넣어 일정한 시간 동안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실제 세탁 환경을 모사한다. 시험 후에는 시험편의 색상 변화와 인접 천으로의 이염 정도를 평가한다.

ISO 방식은 일반적으로 40~60°C 조건에서 30~45분간 회전하며, 다양한 레벨(Level AF)로 세부 조건이 나뉜다. AATCC는 세탁 조건을 1A, 2A, 3A 등으로 나누며, 표준 세탁기 또는 소형 회전 기계를 사용한다. 시험 후에는 회색 견뢰도판(Gray Scale for Color Change/Staining)을 통해 색 변화(변퇴색)와 이염의 정도를 15등급으로 판정하게 된다. 시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ISO 기준의 4등급과 AATCC 기준의 4등급이 항상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므로, 성적서를 해석할 때 반드시 시험 방법과 조건을 함께 확인해야 한다.

 

 

세탁 견뢰도 등급 해석 –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의미

 견뢰도 등급, 1~5등급 의미, 색 변화 판정

 세탁 견뢰도의 시험 결과는 1등급~ 5등급까지로 구분된다. 5등급은 '매우 우수', 1등급은 '매우 불량'을 의미한다. 등급은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데, 첫째는 염색된 시험편 자체의 색 변화(변퇴색), 둘째는 인접 섬유에 색이 이염된 정도이다. 대부분의 경우 두 항목을 모두 측정하여 보고한다.

예를 들어, 변퇴색 5등급, 이염 4등급이라면 시험편 자체 색은 거의 변화가 없었고, 이웃 원단에는 소량의 이염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의류 제품은 최소 4등급 이상의 결과가 요구되며, 아동복이나 밝은 계열 제품은 4~5등급, 산업용 또는 유니폼류는 3~4등급까지 허용되기도 한다. 또한, 특정 컬러(예: 빨강, 파랑, 검정)는 염료 특성상 견뢰도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색상별 특성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하다. 한편, 반복 세탁을 고려한 시험법도 있으며, 세탁 횟수에 따른 경과 등급(예: 5회, 10회 후 평가)도 확인할 수 있다.

 

실무에서 세탁 견뢰도 등급을 적용하는 법

 제품 기준 설정, 바이어 요구조건, 시험성적서 해석

 실제 섬유 및 의류 제품의 기획·개발·납품 과정에서는 세탁 견뢰도 등급이 바이어 요구 조건으로 명확히 제시되며, 성적서의 결과를 기준으로 품질 적합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유럽 SPA 브랜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세탁 견뢰도 4등급 이상을 요구하며, 아웃도어나 기능성 의류는 더 높은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반면, 산업용 커튼이나 유니폼류에서는 3등급 이상이면 실용상 문제가 없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단일 등급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험 조건', '시험 방법', '기준서 명시 여부' 등을 함께 평가해야 하며, ISO와 AATCC 등급의 해석 차이를 바이어와 사전에 조율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무에서는 염색 공정 후 세탁 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염료 고착제 처리수지 가공, 후세정 과정 강화 등의 품질 보완 전략을 사용한다. 결국, 세탁 견뢰도는 단순 수치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험 환경과 목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해석하고 데이터 축적 기반의 기준 설정이 병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