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고어텍스 ePE 필름을 적용한 주요 브랜드별 특징 비교 (파타고니아, 아크테릭스, 살로몬) 지속가능성에 앞장서는 파타고니아의 적용 방식 파타고니아(Patagonia)는 지속가능성을 브랜드 철학의 핵심에 둔 대표적인 글로벌 아웃도어 기업이다. 고어텍스의 ePE 필름이 상용화되기 이전부터 재활용 소재와 PFC-Free(불소화합물 무첨가) 기술에 적극적이었다. ePE 필름이 공식적으로 도입되자, 파타고니아는 이를 신속하게 수용하여 자사 하드쉘 재킷과 아웃도어 라인업에 적용했다. 특히 파타고니아는 ePE 필름이 적용된 제품에 대해 ‘PFC-Free DWR(내수 발수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능성과 환경성의 균형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에게는 "더 안전한 자연과의 연결"이라는 감성적인 메시지로 마케팅하며, 실제 제품 라벨에서도 ePE 기술 적용 사실을 강조해 차별성을 부각하고 있다. 아크테.. 2025. 7. 16.
방수·투습 기술의 대명사 고어텍스의 친환경 혁신 – ePTFE에서 ePE 필름으로의 전환 고어텍스의 탄생 배경과 기술적 원리고어텍스는 미국의 ‘WL 고어 앤 어소시에이츠(W. L. Gore & Associates)’가 1969년에 개발한 기능성 소재로, ePTFE(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멤브레인을 기반으로 한다. 이 멤브레인은 1평방인치당 약 90억 개의 미세한 기공을 갖고 있으며, 이는 물방울보다 작고 수증자 분자보다 커서, 외부의 물은 차단하면서 내부의 땀은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기술은 섬유산업뿐만 아니라 의료용 임플란트, 전자소자 보호막 등에도 응용될 정도로 정밀하고 혁신적인 기술이다. 방수와 투습이라는 상반된 요구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킨 고어텍스는 출시 초기부터 고기능성 의류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원단 구조와 내구성 개선 고어텍스는 기본적으로 멤브레인을 외부.. 2025. 7. 16.
스포츠/아웃도어용 기능성 원단이 일상복으로 확장되는 이유 – 해외 브랜드 룰루레몬과 내수 브랜드 안다르를 중심으로 본 기능성 패션의 진화 애슬레저의 부상, 룰루레몬의 성공 전략 2000년대 후반부터 ‘애슬레저(athleisure)’라는 새로운 복식 문화가 부상했습니다. 이는 운동복(Athletic) + 일상복(Leisure)을 결합한 용어로, 헬스장에서도 입을 수 있고 카페나 회사 근처에서도 무리 없이 착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패션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을 가장 먼저 성공적으로 상업화한 브랜드가 캐나다의 룰루레몬(Lululemon)입니다. 룰루레몬은 요가복이라는 한정된 시장에서 출발했지만, ‘기능성과 세련된 디자인’을 결합해 일반적인 일상복 시장까지 침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특히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키는 Luon 원단이나 체온 조절에 유리한 Nulu.. 2025. 7. 16.
수출입 시 원단 인보이스 작성법 인보이스 기본 구성 요소와 필수 항목 상업 인보이스, 필수 항목, 수출입 문서수출입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문서는 상업 인보이스(Commercial Invoice)로, 이 서류는 관세, 결제, 통관 등 거의 모든 과정의 기반이 된다. 인보이스에는 다음과 같은 필수 항목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수출자(SELLER)와 수입자(BUYER) 정보: 주소, 연락처, 사업자등록번호, 세금ID인보이스 날짜 및 번호: 일련 번호 체계로 관리원단 명세: HS 코드, 품명, 수량(롤/미터), 단위 가격, 총 금액거래 조건(Incoterms): EXW, FOB, CIF 등 지정결제 조건(Payment Terms): L/C, T/T, D/P 등원산지 증명: 원산지 표기 및 원산지증명서 정보운송 관련 정보: 선박명, .. 2025. 7. 16.
‘친환경’이라 불리는 원단들의 한계와 환경적 오류 마케팅 속 ‘친환경 원단’은 진짜일까? 최근 패션 브랜드들은 '친환경 원단 사용'을 경쟁하듯 강조하며 지속 가능한 이미지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친환경’이라는 문구는 실제로 어떤 기준에 근거한 것인지, 그리고 그 실체가 얼마나 진정성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쉽게 제기되지 않습니다. 예컨대 '리사이클 폴리에스터'라 해도 전체 제품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도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오가닉 코튼’이라 하더라도 경작 과정에서 대량의 물과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친환경 원단은 표면적인 이미지와 실제 지속 가능성 사이에 괴리가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가장 이슈가 되었던 '무신사 에코레더' 사건을 모두 기억하실 겁니다. 진실로 알고 마케팅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렇게 .. 2025. 7. 16.
원단 수출입: 수출입 결제 조건(L/C, T/T, D/P) 정리 수출입 결제 조건이란? – 해외 거래에서의 ‘돈 주고 받는 법’ 결제 조건, 수출입 거래, 돈 보내는 방식 해외에서 원단을 수입하거나 수출할 때는 단순히 돈을 보내는 것 이상의 절차가 필요하다. 서로 나라가 다르고, 언어와 법도 달라서 거래에서 문제가 생기면 쉽게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출입 거래에서는 ‘결제 조건(Payment Terms)’이라는 개념을 쓴다. 쉽게 말해, “돈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주고 받을 건지”를 사전에 정해놓는 약속이다. 결제 조건을 잘 정하면 거래에서의 위험을 줄이고, 돈을 떼일 걱정도 덜 수 있다. 흔히 쓰이는 방식으로는 L/C, T/T, D/P가 있는데, 각각의 방식은 신뢰 수준과 리스크, 절차 복잡성에 따라 다르다. L/C(Letter of Credit): .. 2025.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