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원단 지식44 고온 다습한 기후에 맞는 기능성 투습-방수 레이어 원단 (2Layer, 2.5Layer, 3Layer) 고온 다습한 요즘 기후의 특수성: 투습·방수 원단이 요구되는 기후 환경 지구 온난화로 고온 다습한 지역이 늘어나는 요즘.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특히나 일반적인 우의나 방수 의류로는 충분한 쾌적성을 보장받기 어렵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고습도·저온·무풍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며, 미세한 수분 입자들이 공기 중에 부유해 피부나 의복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단순한 방수보다, 투습성과 수분 퍼짐 억제 기능이 균형을 이룬 원단이 필요하다. 방수만 강조된 원단은 외부 수분 침투는 막지만, 내부에서 발생한 땀이나 수증기를 배출하지 못해 결로현상(condensation)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오히려 옷 내부를 젖게 만들고, 체온 유지 기능을 저해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안개가 주기.. 2025. 7. 14. 기능성 냉감 원단의 실제 원리와 마케팅 과장 분석 (Q-MAX) 기능성 냉감 원단의 실제 원리: 열전도율과 열확산이 만든 착각 냉감 원단은 여름철 의류 시장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기능성 소재지만, 실제로 어떤 과학적 원리에 기반하고 있는지는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가장 핵심적인 기술적 원리는 바로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과 ‘열확산율(thermal diffusivity)’이다. 피부에 닿았을 때 시원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체온이 원단 표면으로 빠르게 전달되면서 열이 급속히 분산되기 때문이다. 이때 열전도율이 높은 원단일수록 더 강하게 냉감 효과를 주는 것처럼 느껴진다. 일반적인 면(Cotton)이나 레이온(Rayon)보다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트리아세테이트(Triacetate) 같은 합.. 2025. 7. 13.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