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5

친환경 발수 가공 기술에 대하여 (PFC-Free, C0 씨제로) 기존 발수 가공의 문제점과 친환경 전환의 필요성 기능성 섬유에서 발수 가공은 필수적인 공정이다. 특히 아웃도어웨어, 스포츠웨어, 유니폼, 유아복 등은 외부의 수분 침투를 막아야 하므로 발수 처리 없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전통적인 발수 가공은 대부분 과불화화합물(PFCs)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대표적으로 C8 기반의 PFOA, PFOS 등이 사용되었다. 이들 화합물은 인체 내 잔류성과 환경 독성이 매우 높아 영구적 유기오염물질(POPs)로 분류되며, 국제적으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요 글로벌 섬유 브랜드들은 PFC-free 혹은 non-fluorinated 발수제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있다. 실제로 Patagonia, The North Face,.. 2025. 7. 14.
기후 대응 미세먼지 차단용 섬유 기술 미세먼지의 특성과 섬유 차단 기술의 필요성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는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부유 입자로, 호흡기 깊숙이 침투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PM2.5는 폐포를 넘어 혈류까지 침투할 수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연관이 깊다. 이러한 위험 때문에 일상복, 마스크, 기능성 아우터 등 섬유 제품에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은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단순한 직물 밀도만으로는 미세입자를 완전히 막기 어려우므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고기능성 섬유 기술이 요구된다. 특히 입자 크기, 풍속, 사용 시간에 따라 차단 효율이 달라지므로, 구조적 설계와 표면 처리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정전기 필터 섬유의 원리와 적용미세먼지 차단 섬유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2025. 7. 14.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기능성 소재 트렌드 기후위기와 섬유산업의 변화: 대응형 기능성 소재의 부상 기후위기는 이제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전 지구적 문제로 자리 잡았다. 급격한 온도 상승, 국지성 폭우, 산불, 미세먼지, 고습도 등 기후 이상 현상은 우리의 일상복, 스포츠웨어, 작업복까지 기후 대응형 의류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섬유산업은 전통적으로 기후에 따라 계절 중심으로 소재를 설계해왔지만, 예측 불가능한 날씨가 일상화되면서 보다 능동적인 기후 반응형 기능성 소재 개발이 산업 전반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예컨대, 봄과 여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가을에 무더위가 이어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단순히 계절별로 나뉘는 소재가 아닌 광범위한 온도 스펙트럼에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원단이 요구된다. 더불어, 도시 집중호우나 태풍 등 극.. 2025. 7. 14.
급속건조, 퀵드라이 기능성의 흡습속건 메커니즘 흡습속건 섬유의 정의: 수분과 공기의 경로 설계 흡습속건 기능은 여름철 의류나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작업복 등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성 중 하나로, 피부에서 발생한 땀이나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고 외부로 이동시켜 신속하게 건조시키는 성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천연섬유인 면(Cotton)은 흡습성은 우수하지만 속건성은 떨어지며, 폴리에스터(Polyester)는 흡습성이 낮은 대신 속건성은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 차이를 조합하거나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흡습속건 기능성 섬유(hydrophilic–hydrophobic hybrid fibers)이다. 이러한 섬유는 마이크로 단위의 이중구조 또는 다공성(多孔性)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피부에 닿는 면은 수분을 흡수하는 친수성 구조로 설계되어 있고, 겉.. 2025. 7. 14.
인장강도 vs 신도 시험, 어떤 게 중요한가 인장강도란 무엇인가: 원단의 구조적 내구성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인장강도, 섬유 강성, 내구성 시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는 원단이나 섬유가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 찢어지거나 끊어질 때까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N)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이는 섬유의 구조적 내구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지표로, 산업용 원단이나 고기능성 직물에서는 특히 강조된다. 시험은 표준 규격의 시험편을 일정 속도로 잡아당겨 파단될 때의 힘을 측정하며, 단위는 보통 뉴턴(N) 또는 킬로그램힘(kgf)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텐트 원단, 가방용 폴리에스터, 방탄 직물 등은 일정한 물리적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높은 인장강도를 요구한다. 인장강도가 낮은 원단은 장기 사용 시 쉽게.. 2025. 7. 14.
고온 다습한 기후에 맞는 투습-방수 레이어 원단 (2Layer, 2.5Layer, 3Layer) 🌫 고온 다습한 요즘 기후의 특수성: 투습·방수 원단이 요구되는 기후 환경 지구 온난화로 고온 다습한 지역이 늘어나는 요즘.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특히나 일반적인 우의나 방수 의류로는 충분한 쾌적성을 보장받기 어렵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고습도·저온·무풍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며, 미세한 수분 입자들이 공기 중에 부유해 피부나 의복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단순한 방수보다, 투습성과 수분 퍼짐 억제 기능이 균형을 이룬 원단이 필요하다. 방수만 강조된 원단은 외부 수분 침투는 막지만, 내부에서 발생한 땀이나 수증기를 배출하지 못해 결로현상(condensation)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오히려 옷 내부를 젖게 만들고, 체온 유지 기능을 저해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안개가.. 2025. 7. 14.